• 계간 《기본소득》

    계간 《기본소득》은 회원들 및 기본소득 지지자들과 어떤 기본소득을 지향할 것인지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공간입니다.

기본소득: Online ISSN 2733-8126

#016 | 2023 여름

머리글

상선방류(上善放流)? _ 이관형   보기

이 계절의 이슈 1. 제22차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BIEN) 대회

Basic Income: Sufficient Evidence, Now the Politics(기본소득: 충분한 증거가 있다, 이제는 정치다) _ 가이 스탠딩/ 번역 안효상   보기
제22차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대회에 관하여 _ 백승호   보기
상상을 현실로 만들고, 현실에 새로운 상상력을 불어넣는 곳 _ 양지혜   보기

이 계절의 이슈 2. 기후정의와 기본소득

인류세 시대의 기본소득 _ 안효상   보기
기후위기와 기본소득 _ 금민   보기
Das Grundeinkommen als Instrument der sozialökologischen Transformation(사회·생태적 전환의 도구로서 기본소득) _ 다그마 파터노가/ 번역 이관형   보기
탄소배당의 정당성과 필요성을 확고히 하기 위하여: “사회·생태적 전환의 도구로서 기본소득”에 대한 토론문 _ 이건민   보기
[선언] 기본소득은 사회생태적 전환의 필수요소이자 기후정의를 위한 기반입니다.  보기

논점

공유지론에 기본소득론을 더해야 하는 이유 _ 서정희   보기

문학

[시] 함께자리 (외 1) _ 천양희   보기
[시] 이상한 열매 _ 최지인   보기
[짧은 소설] 이웃들_ 조경란   보기

팔매통신

월드코인과 기본소득,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 사이에서’ _ 한인정   보기

특별기고

녹색 정치에는 조국이 없다 – 제5차 세계녹색당 총회 참가기 _ 김찬휘   보기

함께 만들어가는 기본소득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포기할 수 없는 꿈 _ 이경수   보기

기본소득과 나

저출생시대 생태사상으로서의 기본소득 _ 김명하   보기
기본소득과 나_ 이지상   보기

기본소득의 새로운 지평

기본소득, 먼 미래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_ 김병수   보기

BasicIncomeMagazine_Issue014_slide

계간 《기본소득》 #014 (2022년 겨울호)

/
이번 호는 지난 3년여 동안 계간 <기본소득>을 위해 애쓴 백승호 편집위원장의 마지막 머리글이 담겨 있습니다. "계간 《기본소득》이 15호부터 새로운 편집위원장 체제로 다시 태어납니다. 짧지 않은 3년여를 뒤돌아봅니다. 많은 분들이 오늘의 계간 《기본소득》에 삶을 불어넣어 주셨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BasicIncomeMagazine_Issue013

계간 《기본소득》 #013 (2022년 가을호)

/
계간 《기본소득》, 2022년 가을 제13호가 발행되었습니다.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는 멀리 날기 위한 숨 고르기의 과정에서 기본소득의 정당성을 공유지, 공유부에서 찾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호부터 논점 코너를 통해 공유지 운동 및 공유지 연구자들의 다양한 생각과 입장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BasicIncomeMagazine_Issue012_front

계간 『기본소득』 #012 (2022년 여름호)

/
기본소득 운동의 한 길을 가는 입장들이 공유하고 있는 규범적 가치, 미래 사회에 대한 공동의 비전입니다. 공유하는 가치가 다르다면 빠른 헤어짐이, 같다면 인내와 상호 이해와 소통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이번 계간 《기본소득》에서는 지난 대선 기간의 기본소득 운동들에 대한 평가를 기획으로 담았습니다. 다소 거칠게, 다소 날카롭게 서로의 다름을 확인하고 있지만, 그 행간에 공유하고 있는 가치를 발견하는 것은 독자의 몫일 것 같습니다.
BasicIncomeMagazine_Issue009_title

계간 『기본소득』 #009 (2021년 여름호)

/
공정 담론이 화두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기회가 평등하게 주어진 상태에서 열심히 노력한 개인이 성공하거나, 정규직의 좋은 일자리를 가졌다면 그 결과는 정의로운 결과라는 것이다. 공정 담론에서 말하고 있지 않는 진실. 기본소득론에서는 이를 ‘공유부’ 개념으로 설명한다. 기회의 불평등을 주장하는 공정성 담론에 결과의 불평등을 시정할 수 있는 공유부 배당에 대한 논의가 추가되어야 한다.
BasicIncomeMagazine_Issue008_title

계간 『기본소득』 #008 (2021년 봄호)

/
기본소득에 대한 냉소, 비난, 왜곡은 그 허구성이 하나하나 드러나고 있다. 이는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긴급재난지원금, 어린이 기본소득 등과 같이 현실세계로 내려앉은 기본소득이 건네주고 있는 선물들 덕분이다. 이번 봄호 계간 《기본소득》에는 이러한 선물들이 많이 담겨있다.
img_BasicIncomeMagazine_Issue007_title

계간 『기본소득』 #007 (2020년 겨울호)

/
2020년 계간 《기본소득》겨울호의 이 계절의 이슈를 통해서 새로운 사회의 대안으로 올 한해 이슈가 되었던 기본자산, 참여소득을 심도 있게 다루었고, 기본소득 법안 좌담회를 통해 기본소득법안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았습니다. 각자의 일상에서 기본소득이 실현하고자 하는 이상을 실천할 준비가 되어있는지에 대한 성찰, 2021년은 일상에서 실현되고 있는 기본소득의 이상을 나눌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img_BasicIncome_Issue006_title

계간 『기본소득』 #006 (2020년 가을호)

/
이번 호에는 늦었지만 김종철 선생님을 추모하는 장을 마련하였다. 고인의 큰 뜻을 기리기에 한 없이 부족하지만 고인이 만들고 싶어했던 세상을 깊이 되새기기 위함이다. 이제 우리에게 남은 몫은 고인이 꿈꾸어왔던 생태 - 기본소득 세상을 한발 더 앞당기는 것이다.
img_BasicIncome_Issue005_title

계간 『기본소득』 #005 (2020년 여름호)

/
"기본소득은 뺄셈이나 나눗셈이 아니고 덧셈이다. 기본소득은 기존의 사회안전망에 모든 시민들이 발 딛고 설 수 있는 튼튼한 마루 바닥을 더하는 것이고, 공유부 배당의 권리를 욕구 중심의 복지국가에 더하는 기획이다." 이번 계간 『기본소득』 여름호에서는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가 지향하는 해방적 기본소득이 무엇인지를 핵심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bg_front_BI_magazine004

계간 『기본소득』 #004 (2020년 봄호)

/
계간 『기본소득』 제4호(2020년 봄호)는 뜨거운 논쟁이 진행되고 있는 재난기본소득을 전면에 배치하였습니다. 코로나라는 극한의 상황이 쏘아올린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가 한국사회의 계층화 정치를 무력화시키고, 코로나 이후 새로운 세상을 여는 한 알의 밀알이 되기를 기대해봅니다.
bg_front_BI_magazine003

계간 『기본소득』 #003 (2019 겨울)

/
기본소득의 실행가능성과 관련해서 다양하게 수정된 기본소득 유형들이 제시되어왔다. 대상자 선정에서 인구학적 조건만 부여하는 사회수당형, 사회적으로 유용한 활동에의 참여를 강조하는 참여소득형, 정치배당형, 생태배당형, 농민기본소득형, 급여형태의 변형으로 지역화폐형, 급여지급방식에서 상속자산권리를 강조하는 사회적지분급여형, 급여의 경제적 목표달성을 강조하는 경기조절형 기본소득 등이 그것이다. 계간 『기본소득』 2019년 겨울호는 기본소득이라는 사회 변혁적 대안의 실행가능성과 관련된 하나의 제안으로서 ‘농민기본소득’을 다룬다. 인간해방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소득 실현의 디딤돌로서 농민기본소득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함이다.
bgtop_BI_magazine002

계간 『기본소득』 #002 (2019 가을)

/
이번 호의 화두는 ‘자기응시’입니다. 이번 호는 10주년을 맞은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의 지난날과 오늘날을 되짚어보는 것에 주로 초점을 맞췄습니다. "좌담: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10년의 역사 돌아보기"를 통해, 기본소득 운동의 역사와 미래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얻고자 했습니다. 유승희(국회의원), 장시정(기본소득인천네트워크 운영위원), 최광은(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전 운영위원), 이기호(소설가) 등의 당부 글도 귀기울일 말씀입니다.
Basic Income Magazine

| 발행처: 사단법인 기본소득연구소,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 편집위원장: 이관형
| 편집위원: 김교성, 류보선, 백승호, 서정희, 윤형중, 이건민, 이주희, 이지은, 최기훈, 한인정
| 편집디자인: 사과나무
https://ibis.re.krhttps://basicincomekorea.org
│ basicincomekore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