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간 《기본소득》 제16호(2023년 여름호)

book_Child-Basic-Income-in-Pandong-Elementary-School

[도서] ‘현실 속의 기본소득’ 총서 1. 판동초등학교 어린이 기본소득 by 이지수 외

충청북도 보은군에 있는 한 초등학교의 선생님들과 학부모들은 시내에 나갈 기회가 거의 없는 학생들을 위해 학교에 매점을 만들었다. 하지만 매점을 찾는 학생은 매우 소수였고 고정되어 있었다. 이 초등학교에는 집에서 용돈을 받는 학생이 매우 적었던 것이다. 생각하지 못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매점에서 사용할 쿠폰을 모든 학생에게, 매주, 조건 없이, 학교에서 지급하는 것이었다. ‘판동초 어린이 기본소득’이 시작되었다. 이제 매점은 학생들의 만남의 장이 되었고, 지역 주민들 역시 매점이 지속되도록 힘을 보탰다. 이 “학교와 마을을 잇는 공유화” 과정에서 학부모, 교사, 지역 주민들의 새로운 만남이 펼쳐졌다. 필자들은 한 초등학교 매점에서 벌어진 일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매점 설립을 “제1차 공유화”로 보고 어린이 기본소득 시행을 “제2차 공유화”로 분석한다.

bienuk_livable-icon

2023년 11월 제4기 운영위원회 협의결과

지난 2023년 11월 11일 토요일 오후 2시, Zoom Cloud Meeting으로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2023년 11월 제4기 운영위원회가 열렸다. 11월 정기이사회는 정족수 미달로 열리지 못했고, 운영위원회에서 회원 현황 및 회계 보고와 함께 계간 <기본소득> 준비, 월례세미나 준비, 기본소득대전네트워크 창립 10주년 기념식 축사, 2024년 제12차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정기총회 준비, 기본소득연구소 활동에 대해 협의했다.

bienuk_livable-icon

2023년 10월 제4기 운영위원회/정기이사회 결과

지난 2023년 10월 14일 토요일 오후 2시, Zoom Cloud Meeting으로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2023년 10월 제4기 정기이사회 및 운영위원회가 열렸다. 이번 정기이사회/운영위원회에서는 회원 현황 및 회계 보고와 함께 계간 <기본소득> 준비, 2월례세미나 준비, 11월 2일 (가)커먼스 펀드 토론회 공동주최, 기본소득연구소 활동 등을 안건으로 다뤘다.

Commemorative-_22nd-BIEN-Congress

[제22차 BIEN대회] 현실 속의 기본소득을 밀고 나가는 모든 분들께 (To all those pushing for Basic Income in Reality)

제22차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대회에 참여하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지난 8월 23일부터 26일까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현실 속의 기본소득(Basic Income in Reality)’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대회가 무탈하게, 성황리에 끝났습니다. 참여하신 모든 분들 덕분입니다.

bienuk_livable-icon

2023년 7월 제4기 운영위원회/정기이사회 결과

지난 2023년 7월 8일 토요일 오후 2시, Zoom Cloud Meeting으로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2023년 7월 제4기 정기이사회 및 운영위원회가 열렸다. 이번 정기이사회/운영위원회에서는 회원 현황 및 회계 보고와 함께 계간 <기본소득> 준비, 2023년 BIEN 대회 준비, 기본소득연구소 활동 등을 안건으로 다뤘다.

bienuk_livable-icon

2023년 6월 제4기 운영위원회/정기이사회 결과

지난 2023년 6월 10일 토요일 오후 2시, Zoom Cloud Meeting으로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2023년 6월 제4기 정기이사회 및 운영위원회가 열렸다. 이번 정기이사회/운영위원회에서는 회원 현황 및 회계 보고와 함께 계간 <기본소득> 준비, 월례세미나 준비, 선언 <기본소득은 사회생태적 전환의 필수요소이자 기후정의를 위한 기반입니다> 지지 서명, 2023년 BIEN 대회 준비, 기본소득연구소 활동 등을 안건으로 다뤘다.

‘기본소득’ 지역네트워크를 소개합니다

‘기본소득’ 뉴스를 받아보세요!

book_Child-Basic-Income-in-Pandong-Elementary-School

[도서] ‘현실 속의 기본소득’ 총서 1. 판동초등학교 어린이 기본소득 by 이지수 외

충청북도 보은군에 있는 한 초등학교의 선생님들과 학부모들은 시내에 나갈 기회가 거의 없는 학생들을 위해 학교에 매점을 만들었다. 하지만 매점을 찾는 학생은 매우 소수였고 고정되어 있었다. 이 초등학교에는 집에서 용돈을 받는 학생이 매우 적었던 것이다. 생각하지 못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매점에서 사용할 쿠폰을 모든 학생에게, 매주, 조건 없이, 학교에서 지급하는 것이었다. ‘판동초 어린이 기본소득’이 시작되었다. 이제 매점은 학생들의 만남의 장이 되었고, 지역 주민들 역시 매점이 지속되도록 힘을 보탰다. 이 “학교와 마을을 잇는 공유화” 과정에서 학부모, 교사, 지역 주민들의 새로운 만남이 펼쳐졌다. 필자들은 한 초등학교 매점에서 벌어진 일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매점 설립을 “제1차 공유화”로 보고 어린이 기본소득 시행을 “제2차 공유화”로 분석한다.

bienuk_livable-icon

기본소득 관련 최신문헌 목록 (2023. 11.)

문헌 발행기간: 2023년 10월 9일 ~ 2023년 11월 8일 / 검색 및 정리: 이건민 이사 / 참고 1. 아래 목록은 국내 문헌과 해외 문헌으로 대분류되어 있고, 논문, 도서, 저널 및 잡지 기고문, 서평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본소득을 옹호하는 논지의 문헌뿐만 아니라, 기본소득을 비판하는 문헌도 포함되어 있다. / 참고 2. 발간시점과 공개(검색)시점 간 차이가 존재하며, 공개(검색)시점 기준으로 기본소득 관련 문헌을 정리했고, 가나다순, ABC순으로 정렬했다.

bienuk_livable-icon

기본소득 관련 최신문헌 목록 (2023. 10.)

문헌 발행기간: 2023년 7월 5일 ~ 2023년 10월 9일 / 검색 및 정리: 이건민 이사 / 참고 1. 아래 목록은 국내 문헌과 해외 문헌으로 대분류되어 있고, 논문, 도서, 저널 및 잡지 기고문, 서평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본소득을 옹호하는 논지의 문헌뿐만 아니라, 기본소득을 비판하는 문헌도 포함되어 있다. / 참고 2. 발간시점과 공개(검색)시점 간 차이가 존재하며, 공개(검색)시점 기준으로 기본소득 관련 문헌을 정리했고, 가나다순, ABC순으로 정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