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년간 《기본소득》 No.18 | 2024 하반기
‘기본소득’ 지역네트워크를 소개합니다
‘기본소득’ 뉴스를 받아보세요!
[소식] 2025년 월례세미나가 확 달라졌어요 (일시, 커리큘럼, 참여방법)
/카테고리: 새 소식, 월례세미나, 읽을거리, 행사&활동소식 /작성자: No2매달 세번째 목요일 오후 7시 30분부터 9시까지
줌화상회의실에서 온라인으로
민주주의, 지방정부, 생태주의, AI 등 다양한 주제로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회원들과 함께
먼저, 최근 부상하고 있는 ‘극우’ 이념과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정치사회학자들이 저술한 민주주의 관련 문헌을 강독할 예정입니다. 그런 다음, 2026년 지방정부 선거를 앞두고,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지방정부 중심의 기본소득 실험과 사례를 검토하여, 시사점도 도출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기술 발전과 AI, 그리고 기본소득 간 관계를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 해당 주제를 포함하였고, 지난해부터 진행해 온 생태주의 관련 문헌도 일부 추가하였습니다.
[기본소득 상상 인터뷰] 파문 3 #1 옥천 편: 지역신문과 언론기본소득. “일상의 민주주의는 공론장으로부터”
/카테고리: 기본소득상상인터뷰 파문, 행사&활동소식 /작성자: No2인구 5만 명의 옥천군에는 옥천신문이 있다. 1989년 군민창간주로 시작한 옥천신문은 지역주민의 평범한 일상을 소개하는 기사부터 정책, 정치인을 비판하는 기사까지 지역에서 일어나는 사안을 보도한다. 매주 금요일 신문이 발행되는 날이면, 주민들은 신문에 밑줄을 쭉쭉 그어가며 읽고, 그 주의 기사가 주민들의 입방아에 오른다. 신문사 여론광장에는 독자들 간의 치열한 논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그야말로 ‘옥천판 아고라’다.
기본소득 관련 최신문헌 목록 (2024. 07. 09. ~ 2025. 01. 10.)
/카테고리: 연구논문, 최신문헌 목록 /작성자: No2문헌 발행기간: 2024년 7월 9일 ~ 2025년 1월 10일 / 검색 및 정리: 이건민 이사 / 참고 1. 아래 목록은 국내 문헌과 해외 문헌으로 대분류되어 있고, 논문, 도서, 저널 및 잡지 기고문, 서평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본소득을 옹호하는 논지의 문헌뿐만 아니라, 기본소득을 비판하는 문헌도 포함되어 있다. / 참고 2. 발간시점과 공개(검색)시점 간 차이가 존재하며, 공개(검색)시점 기준으로 기본소득 관련 문헌을 정리했고, 가나다순, ABC순으로 정렬했다.
[소식] 2025년 월례세미나가 확 달라졌어요 (일시, 커리큘럼, 참여방법)
/카테고리: 새 소식, 월례세미나, 읽을거리, 행사&활동소식 /작성자: No2매달 세번째 목요일 오후 7시 30분부터 9시까지
줌화상회의실에서 온라인으로
민주주의, 지방정부, 생태주의, AI 등 다양한 주제로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회원들과 함께
먼저, 최근 부상하고 있는 ‘극우’ 이념과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정치사회학자들이 저술한 민주주의 관련 문헌을 강독할 예정입니다. 그런 다음, 2026년 지방정부 선거를 앞두고,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지방정부 중심의 기본소득 실험과 사례를 검토하여, 시사점도 도출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기술 발전과 AI, 그리고 기본소득 간 관계를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 해당 주제를 포함하였고, 지난해부터 진행해 온 생태주의 관련 문헌도 일부 추가하였습니다.
[기본소득 상상 인터뷰] 파문 3 #1 옥천 편: 지역신문과 언론기본소득. “일상의 민주주의는 공론장으로부터”
/카테고리: 기본소득상상인터뷰 파문, 행사&활동소식 /작성자: No2인구 5만 명의 옥천군에는 옥천신문이 있다. 1989년 군민창간주로 시작한 옥천신문은 지역주민의 평범한 일상을 소개하는 기사부터 정책, 정치인을 비판하는 기사까지 지역에서 일어나는 사안을 보도한다. 매주 금요일 신문이 발행되는 날이면, 주민들은 신문에 밑줄을 쭉쭉 그어가며 읽고, 그 주의 기사가 주민들의 입방아에 오른다. 신문사 여론광장에는 독자들 간의 치열한 논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그야말로 ‘옥천판 아고라’다.
2025년 3월 제4기 운영위원회/정기이사회 결과
/카테고리: 새 소식, 이사회 결과 /작성자: No2지난 2025년 3월 8일 토요일, 정치경제연구소 대안 & Zoom 화상회의실에서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2025년 3월 제4기 정기이사회 및 운영위원회가 열렸다. 이번 정기이사회/운영위원회에서는 회원 현황 및 회계 보고와 함께 반년간 <기본소득> 준비, 월례세미나 준비, 기본소득 상상 인터뷰 ‘파문’ 시즌 3, 교육 및 토론회 기획, 기본소득연구소 활동 등을 안건으로 다뤘다.
[알림]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제13차 정기총회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카테고리: 새 소식, 행사&활동소식 /작성자: No22025년 2월 22일 토요일 오후 3시 ~ 4시 30분, 서울 이노솔루션 B1 이노홀에서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제13차 정기총회가 열렸습니다. 2024년 사업평가 및 수지결산, 2024년 감사보고, 2025년 사업계획 및 수지예산을 결정했습니다.
[2024/2025년 월례세미나] 2025년 3월 월례세미나 “그린뉴딜”
/카테고리: 새 소식, 월례세미나, 행사&활동소식 /작성자: No2일시: 2025년 3월 8일 토요일 오후 4~6시
장소: 정치경제연구소 대안 & Zoom 화상회의실 + 유튜브 생중계
발제: 오준호 운영위원
읽을거리: 노암 촘스키, 로버트 폴린, <기후위기와 글로벌 그린 뉴딜>, 이종민(역), 현암사, 2021년.
2025년 2월 제4기 운영위원회/정기이사회 결과
/카테고리: 새 소식, 이사회 결과 /작성자: No2지난 2025년 2월 15일 토요일, 정치경제연구소 대안 & Zoom 화상회의실에서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2025년 2월 제4기 정기이사회 및 운영위원회가 열렸다. 이번 정기이사회/운영위원회에서는 회원 현황 및 회계 보고와 함께 반년간 <기본소득> 준비, 월례세미나 준비, 기본소득 상상 인터뷰 ‘파문’ 시즌 3, 2025년 제13차 정기총회 준비, 기본소득연구소 활동 등을 안건으로 다뤘다.
[알림] 2025년 3월 9일, 기본소득 봄특강 “어떻게 기본소득은 민주주의를 강하게 하는가”가 열립니다
/카테고리: 새 소식, 행사&활동소식 /작성자: No2사상 초유의 계엄사태와 민주시민들의 탄핵광장을 지나,
우리가 바라는 새로운 사회를 그려볼 시간입니다.
모든 사람의 존엄을 지키는 기본소득 아이디어가 민주주의와 어떻게 만날지,
새로운 민주주의 사회가 ‘기본소득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기본소득 봄특강에서 함께 배워봅시다.
[알림] 2025년 2월 22일(토), 제13차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정기총회가 열립니다 (안건 포함)
/1 코멘트/카테고리: 새 소식, 행사&활동소식 /작성자: No2일시: 2025년 2월 22일 토요일 오후 3시
장소: 이노솔루션 지하 1층 이노홀 (서울 마포구 연남로1길 44, B1)
총회 일정
(*2019년 제7차 정기총회에서 변경한 방식으로 총회 절차를 진행함. 다만 시국과 설연휴 사정을 감안하여 일정을 조정함.)
안건초안 통지: 2월 5일(수)까지
숙의 및 의견 취합: 2월 5일(수) ~ 2월 15일(토), 11일간
안건 확정 및 통지: 2월 17일(월)까지
온라인 의결: 2월 17일(월) 오후 6시 ~ 2월 21일(금) 오후 6시
총회 현장 의결 및 합산 최종의결: 2월 22일(토)
2025년 신년사 by 안효상 이사장
/카테고리: 새 소식, 행사&활동소식 /작성자: No21월 1일이 싫다는 그람시의 말을 떠올리지 않더라도 새 해가 뜨는 일이 이렇게 무의미하게 느껴지는 때는 없는 것 같습니다. 공포스럽고 부조리한 사태로 발생한 정치적 위기가 일단락되기 전까지는 멈추어 있는 듯한 지금의 시간이 길게 이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싶은 바람이 있다면 그건 아마 우리가 살아 숨 쉬고, 조금씩은 나아가고자 하는 것입니다.
반년간 《기본소득》 No.18 (2024 하반기)
/카테고리: 반년간 《기본소득》, 새 소식 /작성자: No2계간에서 반년간으로 바뀐 이번 18호에서는 기본소득의 5대 특징 중 하나인 보편성을 기획으로 다룹니다. 복지, 동물권, 인공지능, 헌법과 관련하여 기본소득의 보편성 개념을 살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