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월례세미나] 변경 안내: 2025년 7월 월례세미나를 취소하고 월례세미나를 순연합니다
2025년 7월 17일에 개최될 예정이던 월례세미나가 발제자의 사정으로 인해 취소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2025년 월례세미나 일정이 순차로 변경됩니다. 다만, 2025년 7월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운영위원회-정기이사회 결과에 따라, 8월과 9월의 월례세미나는 주제를 바꿔 진행합니다. 회원 여러분의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지난 2025년 6월 14일 토요일, 정치경제연구소 대안 & Zoom 화상회의실에서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2025년 6월 제4기 정기이사회 및 운영위원회가 열렸다. 이번 정기이사회/운영위원회에서는 회원 현황 및 회계 보고와 함께 반년간 <기본소득> 준비, 월례세미나 준비, 토론회 ‘베를린 기본소득 실험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개최, 하반기 사업 준비, 2025년 9월 기후정의행진, 기본소득연구소 활동 등을 안건으로 다뤘다.
이 공개편지는 2025년 6월 9일, 안효상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BIKN) 이사장이 사라트 다발라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BIEN) 의장에게 동료들의 회람을 요청하며 보낸 편지입니다. 조기대선으로 치러진 제21대 대통령선거에서 기본소득을 지지하는 이재명 후보자가 당선된 이후, 대한민국 기본소득의 전망에 큰 관심을 갖고 있는 전 세계 기본소득 지지자들에게 한국의 상황과 예상되는 미래에 대한 의견을 전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당시 공약과 핵심메시지, 2024년 12월 3일 내란 이후 대한민국의 긴급한 과제, 현재 대한민국 곳곳에서 진행되는 기본소득 관련 시도들을 두루 살피며 낙관도 비관도 없는 객관적 분석과 전망을 전하고자 했습니다.
2025년 6월 19일(목) 오후 3시, 국회의원회관 제3간담회실에서 토론회 “베를린 기본소득 실험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가 열립니다.
‘베를린 기본소득 실험’은 2021년 6월부터 2024년 5월까지 3년 동안 122명에게 매달 1200유로를 조건 없이 지급한 실험입니다. 이 실험은 이전에 세계 다른 곳들에서 진행된 실험들과 마찬가지로 ‘기본소득이 사람들을 게으르게 만들지 않으며, 자기결정권을 강화하고, 웰빙을 증진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번 토론회는 이 실험을 자세히 들여다봄으로써 사실과 증거를 바탕으로 기본소득 논의를 진전시키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토론회 “베를린 기본소득 실험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는 국회 기본소득 연구포럼,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기본소득연구소, 기본소득정책연구소, 국회의원 용혜인이 공동으로 주최합니다.
‘베를린 기본소득 실험’에 대해 논의하는 2025년 6월 월례세미나를 공개토론회로 바꿔 진행합니다. 즉, 6월 19일(목) 저녁 7시 30분, 줌화상회의실에서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회원들을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었던 6월 월례세미나가 6월 19일(목) 오후 3시, 국회의원회관 제3간담회실에서 열리는 토론회 “베를린 기본소득 실험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로 바뀌었습니다.
이렇게 변경된 이유는 2021년 6월부터 2024년 5월까지 3년간 진행된 ‘베를린 기본소득 실험’의 결과를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함입니다.
혁명의 상상이 뿌예지고, 혁명의 기억이 흐릿해지는 것과 함께 혁명의 정의도 흔들린다. 도대체 혁명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어떤 형태를 가지며, 어떤 세계를 지향하는가?
이런 질문이 앞서는 이유는 12.3 쿠데타에 맞서는 사람들의 저항을 ‘빛의 혁명’이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쿠데타 세력이 세상을 잿빛으로 만들고자 하는 마법사라고 할 때 거기에 맞서는 사람들이 빛으로 세상을 구하고자 한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