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0월 정기이사회 결과
2015년 10월 3일(토)에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정기이사회가 열렸다. 이날 회의에서는 새 홈페이지 관련 논의, 8차 세계기본소득주간 참가 평가, 2016년 정기총회 일정 등을 논의했다.
2015년 10월 3일(토)에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정기이사회가 열렸다. 이날 회의에서는 새 홈페이지 관련 논의, 8차 세계기본소득주간 참가 평가, 2016년 정기총회 일정 등을 논의했다.
2015년 10월 1일, 이재명 성남시장이 청년배당의 추진을 공표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이재명 시장은 청년배당 정책의 취지와 목표, 시행방식을 밝혔고, 더불어서 중앙정부에서 청년배당 정책을 실시할 것을 제안했다.
성남시의 청년배당은 3년 이상 거주한 만 19~24세의 모든 청년들에게 분기마다 25만 원씩, 연 100만원을 청년배당으로서 지급하는 소득이다. 이 청년배당은 자산심사나 노동 요구라는 조건이 없고 모든 청년에게 개별적으로 지급된다.
2015년 8차 세계기본소득주간(8th International Basic Income Week)을 맞이하여 한국에서 기본소득 온라인캠페인을 벌였다.
우리가 함께한 기본소득 온라인캠페인은 9월 16일부터 20일까지 5일간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통해 진행됐고, 110여 명의 기본소득 지지자들이 참여했다. 온라인캠페인 방식은 자신이 속한 공간에서 기본소득 관련 인증샷을 찍은 후에 그 사진을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공간에서 공유하는 것이었다. 캠페인 참여자들은 다양하게 기본소득에 대한 지지를 표현했고, 2016년에 서울에서 열리는 제16차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BIEN) 대회를 홍보했다.
미국 노동장관을 지낸 로버트 라이시가 최근에 기본소득에 대해 점점 더 많이 언급하고 있다. 그는 일찍이 2014년 3월에 기본소득을 공개적으로 지지한 바 있다. 2015년 8월 23일에 올린 블로그 글 <불확실한 고용의 급증>에 이어 라이시는 기본소득에 관한 “다른 칼럼”을 썼다.
2015년 9월 5일(토) 오후 2시,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정기이사회가 열렸다. 이번 이사회에서는 비영리민간단체 등록 진행, 홈페이지 개편, 2015년 기본소득학교 평가에 대해 논의했다. 그리고 오는 9월 14일부터 일주일간 전 세계에서 진행되는 제8차 세계 기본소득 주간(8th International Basic Income Week)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2015년 9월 5일(토), 2016년 제16차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대회 조직위원회 4차회의가 열렸다. 하승수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심광현 교수, 청‘소’년네트워크, 인천네트워크, 대전네트워크 등이 조직위원회에 함께 참여하기로 한 이후에 열린 첫 확대회의였다. 본격적인 조직위원회 활동의 시작을 알리는 이번 회의에서는, 주요 진행사항의 공유와 조직위원회 산하 학술위원회 설치, 기본소득 주간의 기획위원장 추천 등을 결정했다. 앞으로 조직위원회 회의는 최소 3개월에 한 번씩 개최되며, 다음 회의는 2015년 11월 7일(토) 오후 2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