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poster_210129_1st-rural-basic-income-policy-forum

[자료집] 제1회 농촌기본소득 정책포럼: 지역공동체 중심 기본소득 사회실험의 의미와 쟁점

주제: 지역공동체 중심 기본소득 사회실험의 의미와 쟁점
일시: 2021년 1월 29일(금) 14:00~16:30
공동주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LAB2050,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지역재단, 경기도농수산진흥원

poster-96ppi-final

[자료집] 온라인토론회 ‘불평등 사회 대안과 쟁점: 기본소득 vs 기본자산’ (2021년 1월 28일)

발표
“왜 기본소득 제도인가” 서정희 군산대 교수(‘기본소득이 온다’ 공동 저자)
“왜 기초자산 제도인가” 김만권 경희대 교수(‘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괜찮아’ 저자)

토론
“기본소득과 기본자산의 논쟁에 대하여” 안효상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상임이사
“기본자산 정책의 주요 쟁점” 김병권 정의정책연구소 소장

meeting-1293980_1280

[오피니언] 데이터 기술 R&D PIE는 ‘공유지분권에 입각한 사회배당’과 결합되어야 한다 by 금민

혁신성장이 데이터에 눈을 돌리고 있다. 지난 8월 31일, 정부는 판교 스타트업캠퍼스에서 데이터 전문 인력 5만 명 양성을 국가가 지원하고, 빅데이터전문연구센터를 6곳으로 확대하며, 국가공인 데이터 자격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는 데이터 기술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데이터 관련 R&D PIE의 새로운 점은 정부가 플랫폼 경제를 지향하는 데이터 기술 R&D PIE를 전개하고자 한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플랫폼 경제를 수립하기 위한 데이터 중심 혁신성장은 어떤 효과를 낳을 것인가? 국민의 삶은 과연 나아지게 될까?

20180826_s_closing-reflections_A.Miller

[슬라이드쇼] 2018년 제18차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 대회 참가 (핀란드 탐페레)

2018년 제18차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대회가 8월 24~26일, 핀란드 탐페레대학교에서 열렸습니다. “기본소득과 새로운 보편주의: 21세기 복지국가를 다시 생각하다”를 주제로 열린 이 대회에서 기본소득에 관한 학문적, 실천적 성과를 공유하고 핀란드와 온타리오 실험에 관한 소식 등을 자세히 들을 수 있었습니다. 우리의 모습을 사진 슬라이드쇼로 담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