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소득: Online ISSN 2733-8126
《기본소득》
반년간 《기본소득》은 회원들 및 기본소득 지지자들과 어떤 기본소득을 지향할 것인지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공간입니다.
펴내며
광기와 공통감 _ 이관형 보기
연속기획: 기본소득을 다시 묻다 1 – 보편성 보기
복지와 보편성: 보편주의와 잔여주의 논쟁의 역사 _ 김교성 보기
‘모두’의 범위를 넓혀가는 일 _ 홍순영 보기
AI 초지능의 위험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_ 오준호 보기
기본소득의 기본원칙 1. 보편성 _ 조은석 보기
문학 보기
[소설] 씨앗은 어디에_ 김중혁 보기
[소설] 생리대_ 정보라 보기
[시] 2024,10,31일 군산시 옥서면 선연리 1238-8(하제마을) 팽나무 아래에서 _ 강형철 보기
[시] 고통이 말해주지 않는 고통 _ 이문재 보기
기본소득의 새로운 지평
복지국가 성과의 유형과 변화: 성장-분배-생태에 기초한 이념형 분석 _ 이지은 보기
기본소득의 고전
토머스 페인의 『토지 정의』: 소유권과 기본소득 _ 안효상 보기
동향 보기
[동향] 우리 시대의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기본소득 _ 이건민 보기
[해외동향] 2024 BIEN 대회 참관기 _ 이지은 보기

계간 『기본소득』 #003 (2019 겨울)
0 코멘트
/
기본소득의 실행가능성과 관련해서 다양하게 수정된 기본소득 유형들이 제시되어왔다. 대상자 선정에서 인구학적 조건만 부여하는 사회수당형, 사회적으로 유용한 활동에의 참여를 강조하는 참여소득형, 정치배당형, 생태배당형, 농민기본소득형, 급여형태의 변형으로 지역화폐형, 급여지급방식에서 상속자산권리를 강조하는 사회적지분급여형, 급여의 경제적 목표달성을 강조하는 경기조절형 기본소득 등이 그것이다. 계간 『기본소득』 2019년 겨울호는 기본소득이라는 사회 변혁적 대안의 실행가능성과 관련된 하나의 제안으로서 ‘농민기본소득’을 다룬다. 인간해방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소득 실현의 디딤돌로서 농민기본소득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함이다.

계간 『기본소득』 #002 (2019 가을)
이번 호의 화두는 ‘자기응시’입니다. 이번 호는 10주년을 맞은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의 지난날과 오늘날을 되짚어보는 것에 주로 초점을 맞췄습니다. "좌담: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10년의 역사 돌아보기"를 통해, 기본소득 운동의 역사와 미래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얻고자 했습니다. 유승희(국회의원), 장시정(기본소득인천네트워크 운영위원), 최광은(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전 운영위원), 이기호(소설가) 등의 당부 글도 귀기울일 말씀입니다.

계간 『기본소득』 창간호 #001 (2019 여름)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가 회원 여러분과 그리고 지지자들과 함께 '기본소득이 만드는 더 나은 세상'을 이야기하는 매체, 계간 『기본소득』이 드디어 창간되었습니다. 특별히 이번 창간호에는 국내외 여러 분들이 보내 주신 창간 축하메시지도 함께 실려 있습니다.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 발행처: 사단법인 기본소득연구소,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 편집위원장: 이관형
| 편집위원: 김교성, 류보선, 백승호, 서정희, 윤형중, 이건민, 이지은, 한인정
| 편집디자인: 사과나무
│https://ibis.re.kr│https://basicincomekorea.org
│ basicincomekore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