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네트워크 2018년 9월 활동소식
1. 대전네트워크 – 8월 24일, 운영위원회 개최. – 9월 6일, 회원모임 […]
저자는 아직 경력을 작성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No2 씨는 무려 972 항목에 기여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1. 대전네트워크 – 8월 24일, 운영위원회 개최. – 9월 6일, 회원모임 […]
2018년 11차 세계기본소득주간(9월 17~23일)이 시작됩니다! 매년 9월 셋째주에 열리는 세계기본소득주간은 전 세계에서 동시에 기본소득 관련 행사를 하는 기간입니다. 올해는 전 세계 기본소득 지지자들이 하룻동안 공동으로 진행하는 “포토액션”이 있습니다. (추석 시즌과 겹치는 관계로,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는 자체 행사를 하지 않고, 이 포토액션만 함께합니다.) “포토액션”에 함께해주세요!
2018년 제18차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대회가 8월 24~26일, 핀란드 탐페레대학교에서 열렸습니다. “기본소득과 새로운 보편주의: 21세기 복지국가를 다시 생각하다(Basic Income and the New Universalism: Rethinking the Welfare State in the 21st Century)”를 주제로 열린 이 대회에서 기본소득에 관한 학문적, 실천적 성과를 공유하고 핀란드와 온타리오 실험에 관한 소식 등을 자세히 들을 수 있었습니다.
8월 26일 토요일, 폐회 때는 BIEN 공동창립자이자 페미니스트 경제학자인 애니 밀러(Annie Miller)의 폐회 연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의 요청에 따라, 애니 밀러 님이 이 연설을 위한 메모를 새롭게 구성하고 늘린 ‘폐회 연설문’을 보내주셨습니다. 여기에 그 글의 번역문과 원문을 싣습니다. 인용 시 출처를 명시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In this paper, I explore the possible pathways and mechanisms by which basic income caninfluence the activation and proliferationof LMFs, under the perspective that the introduction of basic income and the rise of LMFs constitute the core of economic orindustrial democracy.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Rudolf Meidner’s wage-earner funds. On the basis of the review, this paper intends to create new prospects for a universal welfare regime with common wealth fund that is a reconstruction or supersession of wage-earner f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