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샷_샘플

2016년 16차 비엔대회 발표, 행사 제안을 받습니다

오늘날 기본소득은 아이디어를 넘어 실질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유럽의 주요 정당들이 ‘조건 없는 기본소득’을 주요 정책으로 채택한 것이 이를 잘 보여줍니다. 우리는 경제적 생태적 위기로 인해 현 체제가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음을 깨달았고, 이런 통렬한 인식은 현재 기본소득에 대한 실천적 관심의 배경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사회적, 생태적 전환과 기본소득’이라는 주제로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안을 논의하고자 합니다.

IBIC2015_poster_korean

2015년 기본소득국제학술대회 행사동영상

[행사 순서]

2015년 6월 19일 금요일

기본소득 활동가 마당

개회

1부 지역차원에서의 기본소득
“알래스카의 기본소득 모델” 칼 와이더키스트(미국 조지타운대학교)
“현물 혹은 현금 기본소득의 가능성: 충칭 모델을 중심으로” 추이 즈위안(중국 칭화대학교 공공관리학원)
“도시에서 현물 기본소득의 형태와 유효성” 곽노완(서울시립대학교)

 

2015년 6월 20일 토요일

2부 국제 기본소득운동 사례보고
“기본소득과 직접민주주의 – 스위스의 기본소득 국민발의와 국민투표” 엔노 슈미트(스위스)

“기본소득의 이행과 해방의 잠재력: 인도 마디야 프라데시 주(州) 기본소득 시범사례 연구”사라트 다발라(인도)

3부 조건 없는 기본소득의 정치적 실현가능성
“북유럽 나라들의 보편적 기본소득” 안야 아스켈란트(노르웨이)
“포데모스 의제 내에서의 기본소득: 정치적 혹은 재정적 지속성의 문제” (보르하 바라게, 스페인 마드리드자율대학교)
“기본소득 정치운동의 가능성: 유럽과 한국의 비교”금민(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4부 청년과 기본소득
“청년 배당의 필요성: 성남시의 경우”강남훈(한신대학교) & 유성민(경기대학교)
“기본소득과 ‘1인 가구’ 시대: 청년운동이 말하지 않은 것들”김주온 (기본소득청‘소’년네트워크)

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