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월례세미나가 확 달라졌어요 (일시, 커리큘럼, 참여방법)

매달 세번째 목요일 오후 7시 30분부터 9시까지
줌화상회의실에서 온라인으로
민주주의, 지방정부, 생태주의, AI 등 다양한 주제로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회원들과 함께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와 기본소득연구소가 함께 여는 ‘2025년 월례세미나’ 계획안을 공유합니다. 올해는 더 많은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회원들과 함께 폭넓은 주제를 탐구하며 활발한 논의를 이어가기 위해, 주제와 형식, 일정을 새롭게 구성하였습니다.

달라진 주제 선정

1년 동안 단일 주제를 살피던 그동안의 월례세미나와 달리(2022~2023년 공유부와 기본소득, 2024년 생태주의와 기본소득), 2025년 월례세미나는 민주주의, 지방정부, 생태주의, AI 등 다양한 분야의 주제를 다루고자 합니다.

먼저, 최근 부상하고 있는 ‘극우’ 이념과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정치사회학자들이 저술한 민주주의 관련 문헌을 강독할 예정입니다. 그런 다음, 2026년 지방정부 선거를 앞두고,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지방정부 중심의 기본소득 실험과 사례를 검토하여, 시사점도 도출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기술 발전과 AI, 그리고 기본소득 간 관계를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 해당 주제를 포함하였고, 지난해부터 진행해 온 생태주의 관련 문헌도 일부 추가하였습니다.

세번째 목요일 저녁 7시 30분, 온라인 세미나

세미나의 형식도 문헌 강독과 특정 주제에 대한 특강을 결합하여, 심층적인 논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운영 일정과 방식도 매월 세번째 목요일, 19시 30분 ~ 21시(예를 들면, 4월 17일 목요일), 온라인(줌화상회의)으로 변경하여, 주말 일정이 부담스러웠던 회원들의 참여가 가능하도록 조정하였습니다.

2025년 월례세미나는 더욱 개방적이고 유연한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개별 주제나 문헌에 대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예정이오니, 회원 여러분의 소중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월별 주제에 대한 발제자와 발표자도 모집하고 있으니, 관심 있는 회원들께서는 자원해 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깊이 있는 논의의 장을 함께 만들어 나가길 기원합니다.

2025년 월례세미나 일정표

3월 8일 토요일 (3월 월례세미나)
발제자: 오준호
주제/읽을거리: 놈 촘스키, 로버트 폴린(2020). 기후위기와 글로벌 그린 뉴딜. 이종민(역). 현암사. [자세히 보기]

4월 17일 목요일 (4월 월례세미나)
발제자: 안효상
주제/읽을거리: 카스 무데(2021). 혐오와 차별은 어떻게 정치가 되는가? 권은하(역). 위즈덤하우스. (Cas Mudde (2019). The Far Right Today. Polity Press.) [자세히 보기]

5월 15일 목요일 (5월 월례세미나)
발제자: 유승경
주제/읽을거리: 피에르 다르도 외(2021). 내전, 대중혐오, 법치. 정기헌(역). 원더박스. [자세히 보기]

6월 19일 목요일 (6월 월례세미나)
발제자: 최승호
주제: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기본소득 정책

7월 17일 목요일 (7월 월례세미나)
발제자: 이관형
주제/읽을거리: 스티븐 레비츠키, 대니얼 지블랫(2025).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 박세연(역). 어크로스. [자세히 보기]

8월 21일 목요일 (8월 월례세미나)
발제자: 이지은
주제/읽을거리: 스테이시 앨러이모(2018). 말, 살, 흙. 윤준, 김종갑(역). 그린비. [자세히 보기]

9월 18일 목요일 (9월 월례세미나)
발제자: 한인정
주제/읽을거리: 그레타 가드(2024). 비판적 에코페미니즘. 김현미 외(역). 창비. [자세히 보기]

10월 16일 목요일 (10월 월례세미나)
발제자: 최승호
주제: 베를린 기본소득 실험

11월 20일 목요일 (11월 월례세미나)
발제자: 금민
주제: AI와 기본소득

12월 18일 목요일 (12월 월례세미나)
발제자: 미정
주제: 신안군 햇빛연금 (미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