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간 《기본소득》 제17호(2023년 가을-겨울 통합호)

bienuk_livable-icon

2024년 4월 제4기 운영위원회/정기이사회 결과

지난 2024년 4월 13일 토요일, 정치경제연구소 대안 & Zoom 화상회의실에서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2024년 4월 제4기 정기이사회 및 운영위원회가 열렸다. 이번 정기이사회/운영위원회에서는 회원 현황 및 회계 보고와 함께 계간 <기본소득> 준비, 월례세미나 준비, 기본소득 상상 인터뷰 ‘파문’ 시즌 2, 2024년 주요사업 집행준비, ‘기본소득 실현을 위한 정치적 로드맵 토론회’ 공동주최, 한국불평등연구랩 2024년도 국제학술회의 ‘한국의 불평등과 사회정책’ 세션, 기본소득연구소 활동 등을 안건으로 다뤘다.

thumbnail_Ripple-2_#4

[기본소득 상상 인터뷰] 파문2 #4 고병권 편. “‘사람’의 지위를 의심받는 ‘사람들’의 경계에서 변화가 시작된다”

2024년 1월 31일, ‘읽기의 집’ 집사이자 ‘노들장애인야학’의 학생이자 교사인 철학자 고병권을 만났다. 확실하고 확고했던 생각들이 흔들린다 말했다. 이 사회의 ‘가장자리’에서 무언가 꿈틀거리는 것, 알 수 없는 반짝거리는 것들을 느낀 이후의 일이다.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그는 이제 ‘안다’라 말하기보다, ‘알 수 없다’고 말한다. 그리곤 그의 세계를 뒤흔든 이야기들을 보고, 듣고, 쓴다. 글을 쓰는 일이란, 책임지는 것, 응답하려 노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이 이야기들이 우리 사회가 서로 기대어 있음을, 덕분에 살아가고 있음을 알려준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이야기들은 한 사회가 모든 구성원에게 ‘기본’을 보장하자는 기본소득의 논리로 이어진다. 물론 모두의 기본을 위해선, 차이를 보완할 수 있는, 공공성을 높일 수 있는 고민을 함께 해나가야 할 것이다. 그가 ‘권리중심(공공)일자리소득’ 이야기를 꺼내는 이유다. 기본소득과 권리중심일자리가 함께 가야 한다고 말하는 그의 이야기를 자세히 들어보면 좋겠다.

cropped_volunteer-2055010_1920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속의 ‘기본소득’ 정책공약

제22대 국회의원선거(2024년 4월 10일)을 맞이하여,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가 각 정당의 기본소득 정책공약을 정리했습니다. 이번 기본소득 정책공약 정리는 지역구 투표(지역구 의원 선출)를 위한 기본소득 정책공약 정보와 정당 투표(비례대표 의원 선출)를 위한 기본소득 정책공약 정보를 구분하여 진행했습니다.

image_ubi-phd-network-post

[알림] 기본소득 청년연구자들의 국제모임 UBI PhD Network에 함께할 박사과정생들을 찾습니다

최근 기본소득에 관심 있는 PhD 학생들의 국제모임인 UBI PhD Network가 생겼습니다. UBI PhD Network는 기본소득을 연구하는 청년 연구자들을 국제적으로 연결하는 목표로 설립되었고, 비슷한 생각을 하는 연구자들이 서로 만나고 의견을 나누고 서로의 연구에 대해 토론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thumbnail_Ripple-2_#3

[기본소득 상상 인터뷰] 파문 2 #3 김소연(자우) 편. “선물로서의 기본소득, 너의 존재를 응원해!”

볍씨학교 교사로 일하고 있는 김소연(자우)을 만났다. 좋은 대학, 좋은 직장이 행복의 보증수표인 줄로만 알고 살았지만, ‘속.았.다’. 길을 잃은 것 같았을 때, 국내외로 떠돌며 이미 자기답게 사는 동료들을 만났다. 하나의 아름다움이 아닌, 각자의 색으로 빛나는 동료들을 보며, ‘경이로움’을 느끼게 됐다. 그 아름다움이 거미줄처럼 얽혀, 세상을 구성하고 있음을 알게 됐다. 그들이 조금 더 ‘그렇게’ 살길 바랐다. 볍씨학교의 교사로, 멸종반란 한국의 활동가로… 자신의 역할을 찾아가던 중이었다.
기본소득을 만났다. 자기가 살고 싶은 삶을, 조금 더 힘 있게 살아갈 수 있는 기획처럼 느껴졌다. 지리산에서 목격한 존재를 응원하는 힘이 지금-여기에서도 펼쳐지길 바라는 마음에, 십시일반 기본소득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기후위기, 탈육식, 페미니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이들에게 무조건적인 환대를 하는 일, 사회에 자리를 내어주는 일이다. 프로젝트에선 돈과 이야기가 흐른다. 그는 기본소득이 어떤 기반에서 출발해야 하며, 어떤 지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이야기한다. 이번 인터뷰를 통해 그 이야기를 자세히 들어보면 좋겠다.

bienuk_livable-icon

2024년 3월 제4기 운영위원회/정기이사회 결과

지난 2024년 3월 9일 토요일 오후 2시, Zoom 화상회의실에서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2024년 3월 제4기 정기이사회 및 운영위원회가 열렸다. 이번 정기이사회/운영위원회에서는 회원 현황 및 회계 보고와 함께 계간 <기본소득> 준비, 월례세미나 준비, 기본소득 상상 인터뷰 ‘파문’ 시즌 2, 2024년 주요사업 집행계획, 한국불평등연구랩 2024년도 국제학술회의 ‘한국의 불평등과 사회정책’ 세션 구성 및 참가 여부, 기본소득연구소 활동 등을 안건으로 다뤘다.

sustainability-3295757_1920

[2024년 월례세미나] 3월 월례세미나 “생태주의 책 읽기를 시작하며 : 커리큘럼 소개와 역할 분담”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와 기본소득연구소가 함께 준비한 2024년 월례세미나 ‘생태주의와 기본소득’. 2024년 3월 9일 오후 4시에 3월 월례세미나 “생태주의 책 읽기를 시작하며 : 커리큘럼 소개와 역할 분담”이 진행됩니다.

‘기본소득’ 지역네트워크를 소개합니다

‘기본소득’ 뉴스를 받아보세요!

thumbnail_Ripple-2_#4

[기본소득 상상 인터뷰] 파문2 #4 고병권 편. “‘사람’의 지위를 의심받는 ‘사람들’의 경계에서 변화가 시작된다”

2024년 1월 31일, ‘읽기의 집’ 집사이자 ‘노들장애인야학’의 학생이자 교사인 철학자 고병권을 만났다. 확실하고 확고했던 생각들이 흔들린다 말했다. 이 사회의 ‘가장자리’에서 무언가 꿈틀거리는 것, 알 수 없는 반짝거리는 것들을 느낀 이후의 일이다.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그는 이제 ‘안다’라 말하기보다, ‘알 수 없다’고 말한다. 그리곤 그의 세계를 뒤흔든 이야기들을 보고, 듣고, 쓴다. 글을 쓰는 일이란, 책임지는 것, 응답하려 노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이 이야기들이 우리 사회가 서로 기대어 있음을, 덕분에 살아가고 있음을 알려준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이야기들은 한 사회가 모든 구성원에게 ‘기본’을 보장하자는 기본소득의 논리로 이어진다. 물론 모두의 기본을 위해선, 차이를 보완할 수 있는, 공공성을 높일 수 있는 고민을 함께 해나가야 할 것이다. 그가 ‘권리중심(공공)일자리소득’ 이야기를 꺼내는 이유다. 기본소득과 권리중심일자리가 함께 가야 한다고 말하는 그의 이야기를 자세히 들어보면 좋겠다.

thumbnail_Ripple-2_#3

[기본소득 상상 인터뷰] 파문 2 #3 김소연(자우) 편. “선물로서의 기본소득, 너의 존재를 응원해!”

볍씨학교 교사로 일하고 있는 김소연(자우)을 만났다. 좋은 대학, 좋은 직장이 행복의 보증수표인 줄로만 알고 살았지만, ‘속.았.다’. 길을 잃은 것 같았을 때, 국내외로 떠돌며 이미 자기답게 사는 동료들을 만났다. 하나의 아름다움이 아닌, 각자의 색으로 빛나는 동료들을 보며, ‘경이로움’을 느끼게 됐다. 그 아름다움이 거미줄처럼 얽혀, 세상을 구성하고 있음을 알게 됐다. 그들이 조금 더 ‘그렇게’ 살길 바랐다. 볍씨학교의 교사로, 멸종반란 한국의 활동가로… 자신의 역할을 찾아가던 중이었다.
기본소득을 만났다. 자기가 살고 싶은 삶을, 조금 더 힘 있게 살아갈 수 있는 기획처럼 느껴졌다. 지리산에서 목격한 존재를 응원하는 힘이 지금-여기에서도 펼쳐지길 바라는 마음에, 십시일반 기본소득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기후위기, 탈육식, 페미니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이들에게 무조건적인 환대를 하는 일, 사회에 자리를 내어주는 일이다. 프로젝트에선 돈과 이야기가 흐른다. 그는 기본소득이 어떤 기반에서 출발해야 하며, 어떤 지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이야기한다. 이번 인터뷰를 통해 그 이야기를 자세히 들어보면 좋겠다.